참조와 비참조 사이
명시적으로 참조를 드러내는 이들과 달리 비참조적 건축이 이 시대에 적합한 건축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올지아티의 비참조적 건축은 국내에서도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두 번째 포럼은 건축 칼럼니스트 배윤경의 진행으로, 참조와 비참조를 두고 건축가 이치훈, 김사라, 전재우가 함께 이야기합니다. 이들은 건축의 내부와 외부, 창작과 참조, 참조의 전략 등을 비판적으로 또 풍자적으로 개진한 바 있습니다. 이번 포럼은 이미지가 전지구적으로 동시에 유포되는 시대에 무엇이 참조이고 인용인지, 그것이 건축의 경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질문해봅니다.
건축잡지 『미로 1: 참조와 인용』 소개
『미로』는 한국의 현대 건축의 담론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2024년 10월에 창간했습니다. 근작 소개, 건축물과 건축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한 기존 잡지와 달리, 매호 선정한 주제에 집중하는 글로만 구성되는 텍스트 중심의 잡지입니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입니다. “근대 건축은 이식된 건축이다”라는 명제는 불안과 불편함을 거의 야기하지 않습니다. 근대 건축, 또는 현대 건축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놓고 종종 화해할 수 없는 갑론을박이 벌어지기는 하지만, 그것이 자생적이었다고 주장하는 이는 드뭅니다. 식민지시기 전후에 지어진 절충주의식 건물이든 해방 후 본격적으로 유입된 모더니즘 건물이든 그것은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었으니까요. 유럽과 미국(그리고 암묵적인 참조체로서 일본)과 한국 사이의 시차는 한국 건축의 주요 동력원이었습니다. 반면 좀처럼 전면에 드러나지 못한 것이 있습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지어진 현대 건축물입니다. 건축가들은 자신들의 작업에서 선배와 스승의 작업을 명시적인 참조점으로 삼는 일이 드물었고, 동시대 한국 비평가나 이론가의 글이 실천을 촉발하는 일도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가 조금 바뀌었습니다.
『미로』는 건축계의 다양한 구성원의 목소리를 담으려 합니다. 비평가, 역사학자, 이론가뿐 아니라, 다양한 층위의 건축가들(대형 작업을 하는 건축가에서 건물을 거의 짓지 않는 건축가), 큐레이터, 기획자 등 건축이라는 대단히 넓은 업역의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함께 싣고자 합니다. 이 모두가 담론적 실천인 건축의 경계를 저마다의 방식으로 그리고 있으니까요. 여러분들도 『미로』에서 예상치 못했고 없었던 길을 찾아보길 바랍니다. @miro_journal
미로 연계 포럼 참조와 비참조 사이
- 행사 유형: 유료, 오프라인
- 행사 일시: 2024년 11월 19일 오후 7:30
- 신청 시작: 2024년 10월 28일 오전 8:00
- 신청 종료: 2024년 11월 18일 오후 12:00
- 오프라인 정원: 30명 / 대기 정원: 60명
프로그램 개요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종로구 통의동)
- 약도(카카오맵): http://dmaps.kr/b2ts4
- 약도(네이버맵): https://naver.me/Gsjbg5yu
- 초대손님: 김사라+이치훈+전재우 × 배윤경(모더레이터)
- 구성: 짧은 발제(10분*3), 토론과 문답(60분+)
- 참가비: 12,000원
- 신청 문의: sun@junglim.org
- 포럼 문의: kim@junglim.org
참가비 입금 안내
- 입금계좌: 하나은행 162-910014-62604
- 명단 정상 등록 여부를 먼저 확인해주세요.
- 신청 후 6시간 내 입금해주세요.
- 이후 신청 추이에 따라 신청이 취소됩니다.
- 입금순이 아닌 신청순으로 등록이 진행됩니다.
- 입금 확인 후 등록이 완료됩니다.
- 대기자분은 순서대로 개별 안내를 기다려주세요.
취소 안내
- 신청 취소는 X표 누르고 비밀번호 입력하시면 됩니다.
- 등록 취소 시에는 별도의 취소·환불신청서를 보내드립니다.
- 등록 취소는 신청 종료 시점까지 가능하며, 이후 취소·환불이 어렵습니다.
참여자 소개
김사라
다이아거날 써츠 대표이자 국민대학교 건축학부 겸임교수다. 사회의 보편적인 인식과 그에 따른 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적시하고 드러내는 것에 관심이 있다. 세상을 바라보는 독자적인 태도와 개념을 통해 건축적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건축, 설치 작업, 전시 기획, 영상 등을 매개로 공간 작업을 해오고 있다.
↘ 125 「생각하듯이 쓰기」
이치훈
2011년부터 강예린과 함께 SoA의 파트너이자 대표건축가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수학하였으며 젊은 건축가상(2015), MOMA 현대카드프로젝트 YAP(2015), Emerging Architecture Award 파이널리스트(2016), 김수근건축상 프리뷰상(2016), 코리아디자인어워드(2020), 서울시건축상 최우수상(2020), 한국건축역사학회 작품상(2023) 등을 수상했다.
↘ 117 「참조적 세계로서 건축의 외부, 비참조적 체계로서 건축의 내부」
전재우
하이퍼스팬드럴을 운영하며 건축, 전시, 미술, 제품, 기획 등에서 다양한 공간개념적 작품으로 하나의 세계관을 조성 중이다.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공부했다. 현재 한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혈액형 AB형, 별자리는 전갈자리, mbti는 INTJ다.
↘ 107 「베낄 때 GOAT 멘탈 관리 꿀팁」
배윤경
연세대학교와 네덜란드의 베를라헤 인스티튜트를 졸업했다. 대학에서 건축 설계와 이론을 강의하며, 다양한 매체에 칼럼을 쓰고 있다. 건축적 재현과 원근법에 관한 담론을 중심으로 공간의 생성과 수용 방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저서로는 『암스테르담 건축 기행』(2011), 『어린이를 위한 유쾌한 세계 건축 여행』(2012)이 있으며, 공저로는 아모레퍼시픽 본사의 건설 과정을 기록한 『New Beauty Space』(2021), 현대카드가 지난 20년간 펼쳤던 공간 프로젝트의 과정과 의도를 담은 『The Way We Build』(2021)가 있다.
↘ 139 「참조와 인용에 관한 표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