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다시 쓰기: 발굴, 발명하는 건축가
- 정림학생건축상 2025 연계 포럼
정림학생건축상 2025는 ‘고고학자와 발명가’를 주제로, 1980년대 대거 지어진 평범한 중소규모 건물을 발굴하고, 이를 유형으로 접근해 다시 쓰는 방식을 발명함으로써 새로운 건축적 해법을 모색했습니다. 이번 공모전 주제는 리모델링 프로젝트가 요즘 건축 시장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지금 건축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이 곧 마주할 현실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방법론 차원에서 한 뼘 더 깊이 고민해보자는 데 취지가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날 건축가들이 실제 현장에서 탐구하고 있는 리모델링은 어떤 모습일까요? 그리고 이러한 실천이 지속된다면 건축 업역은 어디까지 어떻게 확장될 수 있을까요? 이번 포럼에서는 노말, 삶것, 제로투엔의 작업을 통해 건축가들이 직면한 과제와 각자의 해석을 들어보고, 모더레이터 이상윤의 진행으로 건축물 리모델링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눕니다.
Phase 2 - 최민욱, 조세연, 이복기(노말)
경제 침체기에는 신축보다 기존 건축물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대수선 시장이 활기를 띠며, 한정된 예산 안에서 건축의 가치를 부동산 자산으로 극대화하려는 수요도 증가합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일부 건축가들은 단순한 자산 가치 상승을 넘어, 건축이 사회적·환경적 가치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실용적이면서도 창의적인 해법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구조적 안전 보강, 공간 재구성, 에너지 효율 개선 등의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며, 신축과는 차별화된 대수선 고유의 장점이 부각됩니다. 이를 통해 기존 건축 자원의 재활용과 공간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건축적 해법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포럼에서는 노말의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사례로 건축가로서 탐색하고 연구하고 있는, 새로운 건축적 아이디어와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고고학자와 발명가, 그리고 할아버지 - 양수인(삶것)
현장에서는 고고학자처럼, 설계실에서는 발명가처럼, 그리고 언제나 할아버지를 찾아서 작업하는 삶것의 대수선 및 증축을 몇 개 보여드리려 합니다.
리모델링 가이드 - 임지환(제로투엔)
급격히 오른 공사비로 인해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어떻게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것인지, 설계와 시공의 분리체계가 변수 많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적합한 것인지,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단순히 공사비 급등에 의한 관심인지 구조적인 문제인지, 민간 부동산 현장에서 바라보는 리모델링 관점과 가능성을 이야기합니다.

정림학생건축상 건물 다시 쓰기: 발굴, 발명하는 건축가
- 행사 유형: 유료, 온∙오프라인
- 행사 일시: 2025년 4월 30일 오후 7:30
- 신청 시작: 2025년 4월 15일 오전 8:00
- 신청 종료: 2025년 4월 29일 오후 12:00
- 오프라인 정원: 20명 / 대기 정원: 10명
- 온라인 정원: 90명 / 대기 정원: 10명
프로그램 개요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발표자: 최민욱, 조세연, 이복기(노말), 양수인(삶것), 임지환(제로투엔)
- 모더레이터: 이상윤(연세대학교)
- 구성: 발표(20분)×3팀, 대화와 문답(60분)
- 참가비: 오프라인 - 15,000원 / 온라인 - 9,000원
- 문의: sun@junglim.org
온라인 참가 안내
- 이 포럼의 온라인은 오프라인 행사를 단순 송출하는 형식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참가비가 다르게 책정되었습니다.
- 온라인은 기본적인 화면과 음성만 제공되며 참여는 제한적입니다. 이 점 양지하고 참가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가신청
참가자 명단 (오프라인) 20 / 20
- 이민준
- 남정우
- 박제현
- 손근영
- 현진석
- 배현진
- 전경선
- 이건희
- 최지원
- 정현선
- 박소희
- 조겸
- 김서윤
- 장하린
- 김동현
- 진세인
- 강다현
- 안우진
- 윤은
- 염선웅
대기자 명단 (오프라인) 9 / 10
- 백민서
- 김주현
- 정윤서
- 김희진
- 장지후
- 이정준
- 변지영
- 조태식
- 오주연
참가자 명단 (온라인) 37 / 90
- 박영미
- 이가은
- 마윤재
- 오세진
- 박영태
- 이규진
- 채영임
- 최현수
- 빙제현
- 홍유경
- 백가경
- 김태규
- 김정현
- 홍순우
- 서수빈
- 임성연
- 정주훈
- 심승희
- 김예원
- 장창규
- 신규용
- 정혜원
- 백하늘
- 이정현
- 강혜림
- 조대영
- 이정화
- 정예원
- 김예림
- 이용철
- 강병준
- 정건우
- 윤희원
- 송윤아
- 장윤지
- 장인우
- 유나연
참가비 입금 안내
- 입금계좌: 하나은행 162-910014-62604
- 신청 후 4시간 내 입급해주세요.
- 이후 신청 추이에 따라 신청이 취소됩니다.
- 입금순이 아닌 신청순으로 등록이 진행됩니다.
- 입금 확인 후 등록이 완료됩니다.
- 대기자분은 순서대로 개별 안내를 기다려주세요.
취소 안내
- 신청 취소는 명단의 X표를 누르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바로 처리됩니다.
- 등록 취소 시에는 별도의 취소·환불신청서를 보내드립니다.
- 등록 취소는 행사 전일 낮 12시까지 가능하며, 이후 취소·환불이 어렵습니다.
발표자 소개
최민욱, 조세연, 이복기(노말)
노말(NOMAL)은 평범하다의 ‘NORMAL’이라는 단어에서 R 을 들어내고 ‘노말’이라는 발음만 차용함으로써 일상 속 평범한 요소를 살짝 틀어 새롭고 비범한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열린 건축가 집단입니다. 노말은 건축을 단순한 형태가 아닌 공간감과 분위기, 도시적 경험이 어우러지는 복합적 과정으로 바라봅니다. 평범한 요소를 비틀어 더 나은 사용성과 편안함을 지닌 공간을 만들어내고자 하며, 건축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고 사회와 함께 호흡하는 공공의 자산으로 존재하기를 지향합니다. no-mal.com
양수인(삶것)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와 뉴욕 컬럼비아 건축대학원에서 공부했습니다. 2005년부터 컬럼비아에서 설계스튜디오와 세미나를 가르치며 뉴욕에서 설계사무실 더리빙을 운영했고, 2011년 귀국하면서 서울에 삶것을 시작했습니다. 삶것은 건축에 기반을 둔 디자인회사로,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 iF 디자인 어워드, 대한민국 광고대상 및 건축문화대상에서 수상했으며, 2017년 뉴욕의 MoMA와 국립현대미술관이 주최하는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공모에서 우승했습니다. lifethings.in
임지환(제로투엔)
제로투엔 대표. 건축가이자 디벨로퍼로 활동합니다. 작품성과 수익성을 겸비한 건축계획을 연구해왔으며, 건축을 문화의 관점 뿐 아니라 산업의 관점에서 가능성을 바라봅니다. zero-to-n.com
모더레이터 소개
이상윤(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와 미국 하버드 대학원(GSD)을 졸업했습니다. 미국 Cambridge 소재의 GUND Partnership에서 다년간의 실무와 Boston Architectural College에서 강의를 한 후, 2009년부터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건축학부 교수로 부임하여 친환경과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건축디자인 최적화 프로세스, 도시 및 건축재생 등을 연구하며, 대표 작업으로는 인제 기적의 도서관, 아모레퍼시픽 백서, 방화11단지 환경개선사업,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정의관 증개축 등이 있습니다.